<Fig1. 보도자료>



2014년 11월 24일에 소니 픽쳐스 엔터테인먼트 공격에 쓰였던 샘플 2종을 분석한 경험이 있는데 기사 본문에서 나오는 코드는 전혀 보지 못했던 코드다....


파일 정보 : https://virustotal.com/ko/file/E2ECEC43DA974DB02F624ECADC94BAF1D21FD1A5C4990C15863BB9929F781A0A/analysis/


파일 정보 : https://virustotal.com/ko/file/4D4B17DDBCF4CE397F76CF0A2E230C9D513B23065F746A5EE2DE74F447BE39B9/analysis/


sony malware 분석 내용 : http://kkoha.tistory.com/entry/sony-malware-analysis


2014년 11월 소니픽처스 공격과 2015년 12월 발생한 베트남 은행 공격, 그리고 올해 2월 발생한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공격에서 사용된 악성코드의 비교 결과 파일삭제 기능의 함수 코드 진행 부분이 매우 유사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번 해킹사건이 북한의 소행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는 게 이슈메이커스랩 측의 설명이다. 


기사 내용 :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0617



이런 내용을 공유할 때는 hash 라도 좀 달아주면 좋겠다. 이슈메이커즈랩에서 분석 했다는 소니 악성코드가 변종일 수 있겠지만 FBI 수사 결과 발표에 공유된 놈과는 다르다.



<Fig2. sony>


sony 건의 특이점은 3번의 MBR wipe 기능과 파일 삭제 시 windows, program files 폴더는 예외 처리한뒤 exe파일과 dll파일이 아닌 파일만 WriteFile 함수를 통해 파일 크기만큼 가비 데이터로 덮어쓴 뒤 DeleteFileW 을 사용하여 삭제 하였다.




<Fig3. BBSWIFT>


기사에 나온 파일 정보 : https://virustotal.com/ko/file/AE086350239380F56470C19D6A200F7D251C7422C7BC5CE74730EE8BAB8E6283/analysis/


Bangladesh Bank’s (BB) SWIFT payment system 건 같은 경우 파일 경로명을 인자값으로 받아 해당 경로에 있는 파일을 WriteFile 함수를 통해 파일 크기만큼 0x00 데이터로 덮어쓴다.  

이후 rand 함수로 파일이름을 생성한뒤 (ex c:\1.txt -> c:\qhrsh) 

파일명을 삭제하기 위해 MoveFileA 함수로 파일명 변경 뒤 DeleteFileA 함수로 삭제한다.



구성도 및 분석 내용은 이미 baesystem에서 잘 분석되어 있어서 참고 바람.

전문 http://baesystemsai.blogspot.kr/2016/04/two-bytes-to-951m.html

Posted by kkoha :